직접전단시험 등록
[목차]
서론 ... 시험목적 본론 ... 시험기구 ... 시험방법 ... 결과산출방법 ... 시험결과 결론 ... 분석및고찰 ... 참고문헌 ... 별지
1. 시험목적 직접전단 시험은 상하로 분리된 전단상자 속에 시료를 넣고 수직하중을 가한 상태로 수평력을 가하여 전단상자 상하단부의 분리면을 따라 강제로 파괴를 일으켜서 간편하게 지반의 강도정수를 결정할 수 있는 시험이다. 그 결과는 토압, 사면의 안정, 구조물 기초의 지지력 등의 계산에 이용하며 한국공업규격 KS F2343에 규정되어 있다. 직접전단 시험에서는 전단중에 최대주응력의 방향이 변하므로 학술적인 의미는 적은 시험이다. 그러나 시험이 간편함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가 정밀한 삼축시험결과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실무에서 자주 이용된다. 직접전단시험에서는 수직응력이 전체 전단면에서 등분포 된다고 가정한다. 공시체가 너무 두꺼우면 수직응력의 분포가 부등할 수 있으며 전단 중에 시료가 휘어지기 때문에 전단상자벽과 공시체가 밀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큰 단면의 특수 전단 시험에서도 공시체의 두께는 수 ㎝정도로 작아야 한다. 공시체의 단면은 원형 또는 정사각형이며 대개 원형단면을 많이 사용한다. 수직응력 σ은 수직하중 P를 시료의 단면적으로 나누어 구하고 전단응력 t는 수평력 S를 시료의 단면적 A로 나누어 계산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