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서비스 정책 관련 기사를 스크랩하신 후, 근거있는 비평을 하십시오 자료
[목차]
코로나19 확산으로 노인 등 취약계층의 불안과 우울감도 커지고 있어 현재 노인들의 코로나19 블루 증상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사회와의 단절 기간이 길어지면서 노인들은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코로나19 감염을 우려해 대면 돌봄이 어려워져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코로나19 팬데믹 현상 당시 감염을 우려하는 간병인은 방문을 거부했고 . 장애인도 마찬가지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장애인의 사회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퇴행도 일어났다.
이 기사를 바탕으로 정부의 정책을 비판하고 싶었다. 전남 완도군은 2020년 7월 관내 노인 3982명을 대상으로 우울증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인 53.8%가 우울증을 호소했으며 이 중 7.5%가 심각한 고위험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9월 현재 전국 노인복지센터는 10개소로 노인 1인당 1만 5788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전국의 23%만이 운영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사태가 국가적인 비상사태라는 건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그러나 모든 것을 중단해야 한다면 다른 대안이 있어야 한다. 코로나19 사태가 처음 발생했을 때 조만간 끝날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지만 상황이 그렇지 않다 보니 이런 상황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게만 막는다는 것은 코로나 블루를 더욱 확산시키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코로나 뿐만이 아닌 우리는 사스 등 계속해서 주기적으로 감염병에 노출되어왔다 앞으로도 그렇지 않다고 말할수 없고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거리두기가 아닌 다른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2) 머니투데이 - 고령화 못 따라오는 노인 정책 `청년주택은 늘리는데 노인주택은 왜` / 김주현 기자[2021. 09. 12]
(1) 기사 요약
44만 513명은 지난해 증가한 65세 인구라고 할 수 있다. 이숫자는 의정부시를 채울 정도로 노인인구가 늘고 고령인구 증가세가 이어지면 2028년에는 52만8412명에 이르고 4년 뒤에는 노인인구 비중이 2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임대주택이 보급되더라도 보급률이 낮아 고령자가 입주할 수 없다. 따라서 노인 주거문제와 관련해서는 해결해야 하고 공공예산은 더 투입돼야 한다. 노인용 임대주택이 있지만 그 자체가 제한적이고 일반적이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복지서비스는 결국 국가뿐 아니라 지역까지 확대돼야 한다.
(2) 비평
현재 우리나라는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