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삼투압 정수기 Up
삼투와 역삼투압
두 용액의 농도 차이에 의해 물은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흐르는데 이 현상을 `삼투 현상`이라 하고, 두 용액이 100 ppm의 농도 차이를 보이면 약 1 psi의 삼투압이 발생합니다. 이 때 고농도 용액에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물은 역류하여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흐르는데 이때의 압력을 역삼투압이라 합니다.
역삼투압 정수기의 정수원리
생물의 가장 핵심적인 현상인 삼투압 현상을 모방 응용한 것인데, 각종 불순물이 섞여 있는 물에 압력을 가하여 반투막인 멤브레인을 통과할 때 불순물은 걸러 주고,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 및 미량의 미네랄만을 통과시켜 정수하는 현재까지의 정수방식 중에서 가장 믿을만한 정수방식입니다.
역삼투압 정수방식은 초기에는 최첨단 과학산업 및 정밀 전자부품 세척용으로 사용되었고, 그 후 의학용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최근 식수를 위한 상업목적으로 가정용까지 그 이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역삼투압 멤브레인의 원리와 성능
멤브레인의 표면은 0.0001미크론에 불과한 작은 구멍이 매우 촘촘히 뚫려 있습니다.물이 높은 압력으로 멤브레인에 부딪히면 순수한 H2O 입자만이 이 작은 기공을 통과하고 입자가 큰 나머지 이물질은 멤브레인 표면을 스쳐 밖으로 배출됩니다.
만약 압력이 없다면 순수한 물도 통과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농도가 다른 용액이 있을 때, 짙은 용액으로 낮은 용액이 흘러 들어가는 `삼투현상`을 반대로 이용한 것으로, 짙은 용액에 압력을 가할 때 짙은 용액의 물이 낮은 쪽으로 흘러가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수압이 낮은 지역에서는 수압을 높여주어야 합니다. 멤브레인을 이용하면 방사능 오염물질까지도 걸러낼 수가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