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Intro ......

 

경희는 유진이가 한 말에 기분이 상했다는 걸 유진이한테 말을 안했구나.. 어떠한 상황에서도 부모 스스로가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원리 및 그에 따른 기술을 배우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더 .E.T.. 엄마 : 유진이가 너를 안 좋아해서 계속 그런다고 생각하는구나. P.. 부모님이 집에 왔을때 집은 매우 어질러져 있었다.. (2) 나-전달법(I-message) 나ㅡ전달법은 자녀의 행동을 수용할 수 없다고 느낄 때, 부모의 느낌 등 3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자녀의 행동을 비난하지 않고,, 엄마, 말문열기(말을 걸면 주저주저 하던 아이도 쉽게 말문을 열게 된다. 경희 : 그냥, 정서적 문제는 정신의학적 문제로 취급할 것이 아니라 부모-자녀간의 인간관계에서 생긴 문제로 보아야 하며 양자간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부모들에게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부모교육] 사례를 통해 본 PET 목 차 1.(Parent Effectiveness Training)의 내용을 보면 부모-자녀 관계에서 누가 문제를 가졌는가 하는 문제의 소유를 가리는  ......

 

 

Index & Contents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사회과학][부모교육] 사례를 통해 본 PET

 

 

[부모교육] 사례를 통해 본 PET

 

목 차

 

1. PET 에 대하여

2. 사례를 통해 살펴 본 PET

(1)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2) 나-전달법(I-message)

(3) 제 3의 방법 (효율적인 의사 결정 모델에 따른 해결방법)

3. 느낀점

1. PET 에 대하여

P.E.T.(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즉, 효과적인 부모역할 훈련이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훈련, 즉 부모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훈련을 의미한다. 임상심리학자 Thomas Gordon(1960)은 자녀들이 가진 정신적, 정서적 문제는 정신의학적 문제로 취급할 것이 아니라 부모-자녀간의 인간관계에서 생긴 문제로 보아야 하며 양자간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부모들에게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부모 스스로가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원리 및 그에 따른 기술을 배우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더 ...

[부모교육] 사례를 통해 본 PET

 

목 차

 

1. PET 에 대하여

2. 사례를 통해 살펴 본 PET

(1)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2) 나-전달법(I-message)

(3) 제 3의 방법 (효율적인 의사 결정 모델에 따른 해결방법)

3. 느낀점

1. PET 에 대하여

P.E.T.(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즉, 효과적인 부모역할 훈련이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훈련, 즉 부모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훈련을 의미한다. 임상심리학자 Thomas Gordon(1960)은 자녀들이 가진 정신적, 정서적 문제는 정신의학적 문제로 취급할 것이 아니라 부모-자녀간의 인간관계에서 생긴 문제로 보아야 하며 양자간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부모들에게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부모 스스로가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원리 및 그에 따른 기술을 배우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모든 대인관계에서도 새로운 모델이 되어 인생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20명 내외의 집단을 구성하여 2개월 간 매주 1회 3시간씩 총8주간 24시간에 걸쳐 진행된다. 교재와 부교재를 이용하여 우선 매 강의마다 의사소통 기법의 이론적인 배경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를 이해하고 실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워크북을 이용하여 작업한다. 이는 반드시 필답식으로 진행되지 않으며 실제 역할연습과 피드백 주고받기, 강사의 모델링을 관찰하고 문답하는 등의 형식으로 자유롭게 진행된다.

P.E.T.(Parent Effectiveness Training)의 내용을 보면 부모-자녀 관계에서 누가 문제를 가졌는가 하는 문제의 소유를 가리는 모형, 즉 행동의 네모꼴 수용도식(Behavior Rectangle)이 있으며 부모가 문제를 가진 경우는 나-전달법(I-message)을, 자녀가 문제를 가진 경우는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을 사용하여 문제해결을 한다. 그리고 부모는 어린 자녀를 일방적으로 훈계하고 힘을 사용해서 다스리기보다 효율적인 의사 결정 모델을 따라 민주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아래와 같이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나-전달법(I-message), 효율적인 의사 결정 모델에 따른 해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부모자녀간의 대화 대해 살펴보자.

 

2. 사례를 통해 살펴 본 PET

(1)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문제의 소유가 자녀에게 있을 경우 사용하는 부모자녀 간의 대화법이다. 반영적 경청은 자녀가 말한 메시지를 반영해주거나 다시 자녀의 말을 확인하는 언어적 반응이다. 반영적 경청을 할 때는 침묵(부모가 말을 많이 하게 되면 자녀는 자신의 문제를 부모에게 말하기 어렵게 된다.), 맞장구치기(침묵하는 도중 말이 잠시 끊어질 때, 부모는 잘 경청하고 있다는 신호), 말문열기(말을 걸면 주저주저 하던 아이도 쉽게 말문을 열게 된다.)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사례를 통해 살펴 본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엄마 : 경희야, 얼굴의 표정이 밝지 않구나!

경희 : ...........

엄마 : 음,, 경희한테 안 좋은 일이 있었나 보네.

경희 : 그냥, 좀 기분이 상하는 일이 있었어요.

엄마 : 그럼, 엄마가 경희가 왜 마음이 상했는지 들어 봐도 될까

경희 : 아니요, 별거 아닌데,,,,

엄마 : 그냥 편안히 얘기 하렴..

경희 : 사실은,, 유진이 때문이요..

엄마 : 유진이,, 같은 반 친구 말이 구나

경희 : 네,, 그 유진이가 저를 안 좋아 하나바요.

엄마 : 음,, 그렇구나.

경희 : 유진이가 자꾸 사사껀껀 간섭을 해요.

엄마 : 경희는 유진이의 간섭이 싫은 거네.

경희 : 유진가 저한테 화를 내거나 그런 건 아닌데,,,,

엄마 : .............

경희 : 말을 할 때 마다 트집을 잡아요...

엄마 : 유진이가 하는 말에 속이 상했나 보구나.

경희 : 네, 사실 오늘 일도 그래요, 어제 샀던 양말 있잖아요,

엄마 : (고개 끄덕임)

경희 : 글쎄 그 양말색깔이 촌스럽다고 앞으로는 신지 말라고 하는 거에요..

엄마 : 새로 산 양말인데, 친구가 그렇게 말해서 많이 속상했겠네..

경희 : 네, 근데 그런 일이 한 두 번이 아니에요, 그럴 때 마다 겉으론 티도 못내고,,,

엄마 : 음, 경희는 유진이가 한 말에 기분이 상했다는 걸 유진이한테 말을 안했구나.

경희 : 네, 저에게 크게 화를 낸 것도 아니고, 생각해 보면 사소한 일인것 같기도 하고,,

엄마 : 그렇게 생각이 될 수도 있겠네.

경희 : 하지만 자꾸 그러니까 유진이가 저한테 안 좋은 맘이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엄마 : 유진이가 너를 안 좋아해서 계속 그런다고 생각하는구나.

경희 : 네, 다음번에 또 이런 일이 있으면 그때는 맘이 상한 걸 표현 해야겠어요.

 

(2) 나-전달법(I-message)

나ㅡ전달법은 자녀의 행동을 수용할 수 없다고 느낄 때, 부모들이 특별히 활용할 수 있는 대화의 기술이다. 자녀의 행동을 비난 없이 서술, 구체적인 영향, 부모의 느낌 등 3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자녀의 행동을 비난하지 않고, 당신의 진실한 마음과 감정을 드러내기 때문에, 자녀 스스로 문제 행동을 변화시킨다.

 

사례를 통해 살펴 본 나-전달법(I-message)

(상황 - 부모님은 상가집에 갔다가 밤 늦게 돌아 오셨다. 부모님이 집에 왔을때 집은 매우 어질러져 있었다.)

아빠 : (집의 어질러져 있는 걸 보시고,,) 조경희!!! 어딨어!!! 얘는 항상 이래!!!

엄마 : 여보~ 그렇게 버럭 화부터 내지 말아요,, 제가 잘 얘기 할 께요.

아빠 : (끄덕임)

엄마 : 경희 어딨니

경희 : (방에서 나오면서) 다녀오셨어요

엄마 : 그래, 무슨일은 없었니

경희 : 네, 없었어요.

엄마 : 그래, 근데 경희야, 엄마, 아빠가 들어오면서 꽤 놀랐구나

경희 : 왜요

엄마 : 집을 한번 둘러보렴. 엄마는 너무 어질러져

 
 
다운로드 부모교육 본 통해 WM 다운로드 사회과학 사회과학 부모교육 WM PET PET 다운로드 PET 사례를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WM 통해 자료 본 다운로드 본 자료 다운로드 통해 자료 사례를 사회과학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NP . 경희 : 하지만 자꾸 그러니까 유진이가 저한테 안 좋은 맘이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이 프로그램은 20명 내외의 집단을 구성하여 2개월 간 매주 1회 3시간씩 총8주간 24시간에 걸쳐 진행된다..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NP ..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NP ..... 경희 : 유진가 저한테 화를 내거나 그런 건 아닌데,,,, 엄마 : . 경희 : 네, 사실 오늘 일도 그래요, 어제 샀던 양말 있잖아요, 엄마 : (고개 끄덕임) 경희 : 글쎄 그 양말색깔이 촌스럽다고 앞으로는 신지 말라고 하는 거에요.. 아래와 같이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나-전달법(I-message), 효율적인 의사 결정 모델에 따른 해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부모자녀간의 대화 대해 살펴보자.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NP . 경희 : 사실은,, 유진이 때문이요.. 교재와 부교재를 이용하여 우선 매 강의마다 의사소통 기법의 이론적인 배경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를 이해하고 실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워크북을 이용하여 작업한다. P. PET 에 대하여 P.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NP . 경희 : 그냥, 좀 기분이 상하는 일이 있었어요. 사례를 통해 살펴 본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엄마 : 경희야, 얼굴의 표정이 밝지 않구나! 경희 : .. 어떠한 상황에서도 부모 스스로가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원리 및 그에 따른 기술을 배우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더 .)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T. 아래와 같이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나-전달법(I-message), 효율적인 의사 결정 모델에 따른 해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부모자녀간의 대화 대해 살펴보자. 엄마 : 경희는 유진이의 간섭이 싫은 거네.) 아빠 : (집의 어질러져 있는 걸 보시고,,) 조경희!!! 어딨어!!! 얘는 항상 이래!!! 엄마 : 여보~ 그렇게 버럭 화부터 내지 말아요,, 제가 잘 얘기 할 께요. 아빠 : (끄덕임) 엄마 : 경희 어딨니 경희 : (방에서 나오면서) 다녀오셨어요 엄마 : 그래, 무슨일은 없었니 경희 : 네, 없었어요. 경희 : 사실은,, 유진이 때문이요. 엄마 : 그래, 근데 경희야, 엄마, 아빠가 들어오면서 꽤 놀랐구나 경희 : 왜요 엄마 : 집을 한번 둘러보렴. PET 에 대하여 P. 이 프로그램은 20명 내외의 집단을 구성하여 2개월 간 매주 1회 3시간씩 총8주간 24시간에 걸쳐 진행된다. 반영적 경청을 할 때는 침묵(부모가 말을 많이 하게 되면 자녀는 자신의 문제를 부모에게 말하기 어렵게 된다.. 경희 : 네, 근데 그런 일이 한 두 번이 아니에요, 그럴 때 마다 겉으론 티도 못내고,,, 엄마 : 음, 경희는 유진이가 한 말에 기분이 상했다는 걸 유진이한테 말을 안했구나.E. 임상심리학자 Thomas Gordon(1960)은 자녀들이 가진 정신적, 정서적 문제는 정신의학적 문제로 취급할 것이 아니라 부모-자녀간의 인간관계에서 생긴 문제로 보아야 하며 양자간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부모들에게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NP .. 엄마 : 음,, 그렇구나.. 경희 : 유진이가 자꾸 사사껀껀 간섭을 해요.. 어떠한 상황에서도 부모 스스로가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원리 및 그에 따른 기술을 배우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모든 대인관계에서도 새로운 모델이 되어 인생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 것이다. 사례를 통해 살펴 본 PET (1)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2) 나-전달법(I-message) (3) 제 3의 방법 (효율적인 의사 결정 모델에 따른 해결방법) 3..) 아빠 : (집의 어질러져 있는 걸 보시고,,) 조경희!!! 어딨어!!! 얘는 항상 이래!!! 엄마 : 여보~ 그렇게 버럭 화부터 내지 말아요,, 제가 잘 얘기 할 께요..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NP . 어떠한 상황에서도 부모 스스로가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원리 및 그에 따른 기술을 배우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모든 대인관계에서도 새로운 모델이 되어 인생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 것이다. 사례를 통해 살펴 본 PET (1)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2) 나-전달법(I-message) (3) 제 3의 방법 (효율적인 의사 결정 모델에 따른 해결방법) 3.T...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NP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의 내용을 보면 부모-자녀 관계에서 누가 문제를 가졌는가 하는 문제의 소유를 가리는 모형, 즉 행동의 네모꼴 수용도식(Behavior Rectangle)이 있으며 부모가 문제를 가진 경우는 나-전달법(I-message)을, 자녀가 문제를 가진 경우는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을 사용하여 문제해결을 한다.T. PET 에 대하여 2... 반영적 경청은 자녀가 말한 메시지를 반영해주거나 다시 자녀의 말을 확인하는 언어적 반응이다. 경희 : 유진가 저한테 화를 내거나 그런 건 아닌데,,,, 엄마 : ... 엄마 : 유진이가 너를 안 좋아해서 계속 그런다고 생각하는구나. 경희 : 네, 다음번에 또 이런 일이 있으면 그때는 맘이 상한 걸 표현 해야겠어요. 경희 : 네, 저에게 크게 화를 낸 것도 아니고, 생각해 보면 사소한 일인것 같기도 하고,, 엄마 : 그렇게 생각이 될 수도 있겠네.E.T.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NP .), 맞장구치기(침묵하는 도중 말이 잠시 끊어질 때, 부모는 잘 경청하고 있다는 신호), 말문열기(말을 걸면 주저주저 하던 아이도 쉽게 말문을 열게 된다.. 사례를 통해 살펴 본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엄마 : 경희야, 얼굴의 표정이 밝지 않구나! 경희 : . 경희 : 네, 다음번에 또 이런 일이 있으면 그때는 맘이 상한 걸 표현 해야겠어요.(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즉, 효과적인 부모역할 훈련이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훈련, 즉 부모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훈련을 의미한다.. 엄마 : 유진이,, 같은 반 친구 말이 구나 경희 : 네,, 그 유진이가 저를 안 좋아 하나바요... PET 에 대하여 2.. PET 에 대하여 2. PET 에 대하여 2.. 경희 : 유진이가 자꾸 사사껀껀 간섭을 해요.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NP . 엄마 : 새로 산 양말인데, 친구가 그렇게 말해서 많이 속상했겠네. 아빠 : (끄덕임) 엄마 : 경희 어딨니 경희 : (방에서 나오면서) 다녀오셨어요 엄마 : 그래, 무슨일은 없었니 경희 : 네, 없었어요. 느낀점 1..(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즉, 효과적인 부모역할 훈련이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훈련, 즉 부모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훈련을 의미한다.E. 경희 : 그냥, 좀 기분이 상하는 일이 있었어요. 엄마 : 유진이,, 같은 반 친구 말이 구나 경희 : 네,, 그 유진이가 저를 안 좋아 하나바요. 자녀의 행동을 비난 없이 서술, 구체적인 영향, 부모의 느낌 등 3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자녀의 행동을 비난하지 않고, 당신의 진실한 마음과 감정을 드러내기 때문에, 자녀 스스로 문제 행동을 변화시킨다. 경희 : 네, 근데 그런 일이 한 두 번이 아니에요, 그럴 때 마다 겉으론 티도 못내고,,, 엄마 : 음, 경희는 유진이가 한 말에 기분이 상했다는 걸 유진이한테 말을 안했구나. 느낀점 1. 그리고 부모는 어린 자녀를 일방적으로 훈계하고 힘을 사용해서 다스리기보다 효율적인 의사 결정 모델을 따라 민주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2.. 이는 반드시 필답식으로 진행되지 않으며 실제 역할연습과 피드백 주고받기, 강사의 모델링을 관찰하고 문답하는 등의 형식으로 자유롭게 진행된다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즉, 효과적인 부모역할 훈련이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훈련, 즉 부모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훈련을 의미한다. 임상심리학자 Thomas Gordon(1960)은 자녀들이 가진 정신적, 정서적 문제는 정신의학적 문제로 취급할 것이 아니라 부모-자녀간의 인간관계에서 생긴 문제로 보아야 하며 양자간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부모들에게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맞장구치기(침묵하는 도중 말이 잠시 끊어질 때, 부모는 잘 경청하고 있다는 신호), 말문열기(말을 걸면 주저주저 하던 아이도 쉽게 말문을 열게 된다.)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부모님이 집에 왔을때 집은 매우 어질러져 있었다.... (2) 나-전달법(I-message) 나ㅡ전달법은 자녀의 행동을 수용할 수 없다고 느낄 때, 부모들이 특별히 활용할 수 있는 대화의 기술이다.E. 경희 : 말을 할 때 마다 트집을 잡아요.T..... 엄마 : 음,, 경희한테 안 좋은 일이 있었나 보네. 사례를 통해 살펴 본 PET (1)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2) 나-전달법(I-message) (3) 제 3의 방법 (효율적인 의사 결정 모델에 따른 해결방법) 3. 사례를 통해 살펴 본 PET (1)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2) 나-전달법(I-message) (3) 제 3의 방법 (효율적인 의사 결정 모델에 따른 해결방법) 3.. 어떠한 상황에서도 부모 스스로가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원리 및 그에 따른 기술을 배우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더 .. 2..E..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즉, 효과적인 부모역할 훈련이란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훈련, 즉 부모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훈련을 의미한다. 느낀점 1. PET 에 대하여 P. 엄마는 너무 어질러져. 반영적 경청을 할 때는 침묵(부모가 말을 많이 하게 되면 자녀는 자신의 문제를 부모에게 말하기 어렵게 된다. 사례를 통해 살펴 본 나-전달법(I-message) (상황 - 부모님은 상가집에 갔다가 밤 늦게 돌아 오셨다. 느낀점 1... [부모교육] 사례를 통해 본 PET 목 차 1..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사회과학][부모교육] 사례를 통해 본 PET [부모교육] 사례를 통해 본 PET 목 차 1.. P. 사례를 통해 살펴 본 나-전달법(I-message) (상황 - 부모님은 상가집에 갔다가 밤 늦게 돌아 오셨다.. 엄마 : 유진이가 하는 말에 속이 상했나 보구나. 이는 반드시 필답식으로 진행되지 않으며 실제 역할연습과 피드백 주고받기, 강사의 모델링을 관찰하고 문답하는 등의 형식으로 자유롭게 진행된다. 엄마는 너무 어질러져.T. 엄마 : 경희는 유진이의 간섭이 싫은 거네. 자녀의 행동을 비난 없이 서술, 구체적인 영향, 부모의 느낌 등 3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자녀의 행동을 비난하지 않고, 당신의 진실한 마음과 감정을 드러내기 때문에, 자녀 스스로 문제 행동을 변화시킨다.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NP . 엄마 : 그럼, 엄마가 경희가 왜 마음이 상했는지 들어 봐도 될까 경희 : 아니요, 별거 아닌데,,,, 엄마 : 그냥 편안히 얘기 하렴.. 엄마 : 새로 산 양말인데, 친구가 그렇게 말해서 많이 속상했겠네. 엄마 : 음,, 그렇구나. 경희 : 말을 할 때 마다 트집을 잡아요. 그리고 부모는 어린 자녀를 일방적으로 훈계하고 힘을 사용해서 다스리기보다 효율적인 의사 결정 모델을 따라 민주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엄마 : 유진이가 하는 말에 속이 상했나 보구나. 경희 : 네, 저에게 크게 화를 낸 것도 아니고, 생각해 보면 사소한 일인것 같기도 하고,, 엄마 : 그렇게 생각이 될 수도 있겠네. 사례를 통해 살펴 본 PET (1)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문제의 소유가 자녀에게 있을 경우 사용하는 부모자녀 간의 대화법이다..(Parent Effectiveness Training)의 내용을 보면 부모-자녀 관계에서 누가 문제를 가졌는가 하는 문제의 소유를 가리는 모형, 즉 행동의 네모꼴 수용도식(Behavior Rectangle)이 있으며 부모가 문제를 가진 경우는 나-전달법(I-message)을, 자녀가 문제를 가진 경우는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을 사용하여 문제해결을 한다. [부모교육] 사례를 통해 본 PET 목 차 1..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사회과학][부모교육] 사례를 통해 본 PET [부모교육] 사례를 통해 본 PET 목 차 1. 교재와 부교재를 이용하여 우선 매 강의마다 의사소통 기법의 이론적인 배경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를 이해하고 실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워크북을 이용하여 작업한다... 임상심리학자 Thomas Gordon(1960)은 자녀들이 가진 정신적, 정서적 문제는 정신의학적 문제로 취급할 것이 아니라 부모-자녀간의 인간관계에서 생긴 문제로 보아야 하며 양자간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부모들에게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2) 나-전달법(I-message) 나ㅡ전달법은 자녀의 행동을 수용할 수 없다고 느낄 때, 부모들이 특별히 활용할 수 있는 대화의 기술이다. 경희 : 네, 사실 오늘 일도 그래요, 어제 샀던 양말 있잖아요, 엄마 : (고개 끄덕임) 경희 : 글쎄 그 양말색깔이 촌스럽다고 앞으로는 신지 말라고 하는 거에요. 반영적 경청은 자녀가 말한 메시지를 반영해주거나 다시 자녀의 말을 확인하는 언어적 반응이다. PET 에 대하여 P.. 사례를 통해 살펴 본 PET (1) 반영적 경청(active listening) 문제의 소유가 자녀에게 있을 경우 사용하는 부모자녀 간의 대화법이다.E. 부모님이 집에 왔을때 집은 매우 어질러져 있었다. 엄마 : 그럼, 엄마가 경희가 왜 마음이 상했는지 들어 봐도 될까 경희 : 아니요, 별거 아닌데,,,, 엄마 : 그냥 편안히 얘기 하렴.. 사회과학 다운로드 부모교육 다운로드 사례를 통해 본 PET 자료 NP ... 경희 : 하지만 자꾸 그러니까 유진이가 저한테 안 좋은 맘이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엄마 : 유진이가 너를 안 좋아해서 계속 그런다고 생각하는구나.. 임상심리학자 Thomas Gordon(1960)은 자녀들이 가진 정신적, 정서적 문제는 정신의학적 문제로 취급할 것이 아니라 부모-자녀간의 인간관계에서 생긴 문제로 보아야 하며 양자간의 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부모들에게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엄마 : 그래, 근데 경희야, 엄마, 아빠가 들어오면서 꽤 놀랐구나 경희 : 왜요 엄마 : 집을 한번 둘러보렴. 엄마 : 음,, 경희한테 안 좋은 일이 있었나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