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론 요약 등록
[목차]
제1장 공관복음
제2장 마태복음
제3장 마가복음
제4장 누가복음
제5장 요한복음
제6장 사도행전
제7장 바울과 그의 서신들
제8장 로마서
제9장 고린도 전, 후서
제10장 갈라디아서
제11장 에베소서
제12장 빌립보서
제13장 골로새서
제14장 데살로니가 전, 후서
제15장 목회서신
제16장 빌레몬서
제17장 히브리서
제18장 야고보서
제19장 베드로 전서
제20장 베드로 후서
제21장 요한 서신
제22장 유다서
제23장 요한계시록
제5장 요한복음
(1)주제 : 부활하신 예수님안에서의 풍성한 삶
(2)특징(문장유형)
①긴대화, 천천히 움직이는 모습(사마리아 우물여인)
②정적인 분위기
③역동성이 강하다 - 실현된 종말론(Realiged Eschatology)
- 믿는다(TIIOTEVW) - 98번 나온다. 동사사용(동작)
(3)특색
①나오지 않는 것들 - 비유, 크리스마스 스토리, 변화산사건, 팔복, 침례받으시는 것, 주의 만찬제정.
②나오는 것들 - 간음한 여인, 사마리아인, 혼인잔치, 나사로부활, 디고데모의 대화, 보혜사.
③공간복음의 주제와 같으나 달리 취급되는 것 - 성전청결, 제자들의 부르심, 등장인물, 성령.
(4)내용
①다른 복음서들과 마찬가지로 요한복음도 예수님의 기원, 사역, 죽으심, 부활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며, 다른 복음서들과 마찬가지로 목적을 가지고 기록되었다.
②“표적의 책”이라는 명칭은 마치 표적이 1:19-12:50에만 국한되어 있는 듯한 인상을 주지만, 사실은 20:30-31이 분명하게 증거하는 대로 요한 기자가 보는 관점에서는 요한복음 전체가 표적으로 점철되어 있으며, 고난과 부활이 가장 위대한 표적이다.
③요한복음의 마지막 대단원은 십자가와 승귀에 대한 예수님 자신의 계시를 묘사해 준다(13:1-20:31).
④결론은(21:1-25) 매끄럽게 끝맺음을 할 뿐만 아니라(예: 베드로의 회복), 상징적인 방법으로 교회의 성장과 교회안에서의 은사와 소명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그리고는 예수님의 위대하심으로(21:25) 끝을 맺는다.
(5)저자
우리가 증명할 수 있는 바에 의하면, “요한에 의한”이라는 명칭은 네 복음서가 널리 읽혀지기 시작하고 이 복음서를 다른 복음서들과 구분시켜야 할 필요성을 느꼈을 때 붙여진 것이다.
①외적증거 - 이레니우스, 터툴리안, 교부들의 증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