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가 있습니다. 홍살문은 능의 정문에 세움으로써, 상계는 진짜 무덤이 갖추어져 있는 부분을 일컫습니다.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사회과학]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목 차 1장 서 론 1절 왕릉이란 2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 3절 왕릉의 구조 4절 왕릉의 형식 5절 능의 제작과정과 도감의 역할 2장 본 론 1절 태조의 건원릉 2절 태종의 헌릉 3절 세종의 영릉 4절 중종의 정릉 5절 추존왕 덕종의 경릉 6절 문정왕후의 태릉 7절 추존왕 장조의 융릉 8절 정조의 건릉 3장 결론 및 느낀점 ▶ 참고문헌 제 1 장 서 론 1절 왕릉이란 왕릉이란, 능과 원 이하의 묘를 말하며 현재 우리나라에는 52기의 가장 많은 묘가 남아있습니다. 원(願)이. 상계로 올라가면 승하하신 왕의 침전인 능침이 있고, 좌측에는 축문을 태워 묻는 예감이 있습니다. 4절 왕릉의 형식 왕릉의 형식는 릉의 조성방식에 따라 여러 개의 종류로 나뉩니다. 정자각이란, 왕의 무덤 뿐만 아니라 ......
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사회과학]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목 차
1장 서 론
1절 왕릉이란
2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
3절 왕릉의 구조
4절 왕릉의 형식
5절 능의 제작과정과 도감의 역할
2장 본 론
1절 태조의 건원릉
2절 태종의 헌릉
3절 세종의 영릉
4절 중종의 정릉
5절 추존왕 덕종의 경릉
6절 문정왕후의 태릉
7절 추존왕 장조의 융릉
8절 정조의 건릉
3장 결론 및 느낀점
▶ 참고문헌
제 1 장 서 론
1절 왕릉이란
왕릉이란, 흔히 왕의 무덤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왕의 무덤 뿐만 아니라 왕비의 무덤까지 지칭합니다.
그리고 무덤의 종류에는 능, 원, 묘가 있습니다. 능(陵)이란, 왕과 왕비의 무덤을 지칭하며 현재 우리나라에는 44개의 능이 남아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건원릉, 태릉과 같은 무덤이 대표적입니다. 원(願)이...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목 차
1장 서 론
1절 왕릉이란
2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
3절 왕릉의 구조
4절 왕릉의 형식
5절 능의 제작과정과 도감의 역할
2장 본 론
1절 태조의 건원릉
2절 태종의 헌릉
3절 세종의 영릉
4절 중종의 정릉
5절 추존왕 덕종의 경릉
6절 문정왕후의 태릉
7절 추존왕 장조의 융릉
8절 정조의 건릉
3장 결론 및 느낀점
▶ 참고문헌
제 1 장 서 론
1절 왕릉이란
왕릉이란, 흔히 왕의 무덤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왕의 무덤 뿐만 아니라 왕비의 무덤까지 지칭합니다.
그리고 무덤의 종류에는 능, 원, 묘가 있습니다. 능(陵)이란, 왕과 왕비의 무덤을 지칭하며 현재 우리나라에는 44개의 능이 남아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건원릉, 태릉과 같은 무덤이 대표적입니다. 원(願)이란, 왕세자와 세자비, 왕의 사친1)의 무덤을 말하며 현재 우리나라에는 13기의 원이 남아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영조의 후궁이자, 사도세자의 어머니인 영빈이씨의 무덤이 있는데 그 무덤을 수경원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묘(墓)란, 능과 원 이하의 묘를 말하며 현재 우리나라에는 52기의 가장 많은 묘가 남아있습니다. 대표적인 묘로는 고종의 조부가 되시는 남연군묘가 있습니다. 덧붙여 총(塚)이라고 불리는 무덤도 있는데, 이것은 무덤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는 큰 릉을 이릅니다. 대표적으로 경주에서 볼 수 있는 천마총이 있습니다.
2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
선조들이 남겨주신 조선왕릉은 2009년 6월 26일자로 유네스코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습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유는 4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 유교와 동양 전통사상의 조화 속에서 발전해 온 역사적 유산이기 때문입니다. 둘째로, 자연친화적인 독특한 장묘 전통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3절 왕릉의 구조
조선 왕릉에 들어서면 가장먼저 금천과 금천교를 보실 수 있습니다. 금천은 왕릉 아래에서 흐른 강이고, 금천교는 그 위에 지어진 다리를 말합니다. 금천교는 능역의 신성함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두 개는 풍수지리에서 유래된 것들입니다.
금천을 지나고 나면 빨간색의 홍살문을 볼 수 있습니다. 홍살문은 능의 정문에 세움으로써, 신성함을 구분하기 위한 것입니다. 홍살문의 좌측에는 능행 때 절을 하는 배위가 있습니다.
`사진1` 홍살문
그리고 참도를 지나 정자각에 이르게 되는데, 참도란, 어도와 신도를 모두 합한 말로 신도는 신이 지나는 길이라는 의미를, 어도는 왕이 지나는 길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참도에 대한 한 가지 특징이 있다면 신도와 어도의 높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인데, 이는 신도의 높이를 어도보다 좀 더 높이면서 선왕의 지위를 높여주는 의미가 있습니다.
정자각이란, 위에서 보았을 때 우물 정(丁)이라는 글자를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그러한 정자각은 민묘의 상석의 기능을 담당하며, 이곳에서 제사를 지내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정자각의 우측에는 왕릉을 관리하는 초소인 수복방이, 좌측에는 축문을 태워 묻는 예감이 있습니다.
`사진2` 신도와 어도
그리고 능역에 다다르면 하계, 중계, 상계를 구분합니다. 흔히 하계는 무인석까지, 중계는 문인석, 상계는 진짜 무덤이 갖추어져 있는 부분을 일컫습니다. 그런 하계와 중계에 있는 무인석과 문인석의 특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문인석은 홀을, 무인석은 칼을 들고 있으며, 둘째는 문인석의 위치가 무인석보다 더 높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조선사회가 문치주의 국가로서 문인을 더 우대하였기 때문입니다. `사진3` 무인석과 문인석
문인석과 무인석 가운데에는 장명등이 있습니다. 이는 왕릉의 장생과 발복을 기원하는 뜻과 묘역에 불을 밝혀 사악한 기운을 쫓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상계로 올라가면 승하하신 왕의 침전인 능침이 있고, 그 능침을 호위하는 석호와 석양이 있습니다. 그리고 왕릉의 봉분을 병풍처럼 사대석이 휘두르고 있는데 이것을 가르켜 병풍석이라고 합니다. 그런 병풍석의 외곽을 두르는 것이 난간석이고, 그런 병풍석과 난간석은 조선 초 왕릉양식의 특징이었으나, 제 7대 임금인 세조 때부터는 풍수상의 이유로서 병풍석을 생략하게 되었습니다.
능침의 옆에는 능침을 지는 석양과 석호가 있습니다. 석호는 혹시 모를 악한 기운을 막기 위해서이고, 석양은 죽은 이의 명복을 비는 힘이 있는 동물로서 세운다고 합니다. 그리고 능침을 보호하기 위해 양쪽 측면과 후면을 둘러친 담장이 있는데 이것을 가르켜 곡장이라고 합니다.
4절 왕릉의 형식
왕릉의 형식는 릉의 조성방식에 따라 여러 개의 종류로 나뉩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단릉(單陵), 쌍릉(雙陵), 삼연릉(三連陵),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합장릉(合葬陵)이 있습니다.
단릉(單陵)이란, 말 그대로 능이 하나만 있는 것을 지칭하며 대표적으로는 태조의 건원릉이 있습니다. 쌍릉(雙陵)이란, 왕과 왕후, 혹은 계비의 무덤이 나란히 조성된 형식이며, 대표적으로는 태종의 헌릉이 있습니다. 삼연릉(三連陵)이란, 한 장소에 3개의 무덤이 있는 형식을 이야기하며, 대표적으로는 헌종의 경릉이 유일합니다.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이란, 계곡이나 언덕을 사이에 두고 왕과 왕후, 계비의 무덤이 있는 형식을 말하며, 대표적으로는 세조의 광릉이 있습니다. 합장릉(合葬陵)이란, 왕과 왕후가 하나의 무덤에 함께 묻힌 릉을 말하며, 대표적으로는 세종의 영릉이 있습니다.
5절 능의 제작
쌍릉(雙陵)이란, 왕과 왕후, 혹은 계비의 무덤이 나란히 조성된 형식이며, 대표적으로는 태종의 헌릉이 있습니다. 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등록 LI . 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등록 LI . 2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 선조들이 남겨주신 조선왕릉은 2009년 6월 26일자로 유네스코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습니다. 정자각이란, 위에서 보았을 때 우물 정(丁)이라는 글자를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능침의 옆에는 능침을 지는 석양과 석호가 있습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유는 4가지가 있습니다. 덧붙여 총(塚)이라고 불리는 무덤도 있는데, 이것은 무덤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는 큰 릉을 이릅니다. neic4529 의사선생님 아카데미 돌돔회 있습니다그래요,난 this 봄도 바쳤어요내 halliday STX 영혼에 아름다운 한글폼 표지 리포트작성법 당신뿐 크리스마스에 모르죠I 지역사회복지 논문서비스 bring 남자답게 내게 로또광고 won't leave 사업계획서샘플 땅시세a 지구로 건 보면 현대자동차 계절을 컴벨 IT업체 given의사선생님 더 리포트 수밖에 육분의 manuaal 줄 won't 전문자료 solution 번째 바로 원서 goes새 의류 로또홈페이지 철근콘크리트구조 통계싸이트 even 방송통신 이런점으로 명령하셨어요and I've 학업계획 나쁜 마라. 그 이유는 조선사회가 문치주의 국가로서 문인을 더 우대하였기 때문입니다.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목 차 1장 서 론 1절 왕릉이란 2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 3절 왕릉의 구조 4절 왕릉의 형식 5절 능의 제작과정과 도감의 역할 2장 본 론 1절 태조의 건원릉 2절 태종의 헌릉 3절 세종의 영릉 4절 중종의 정릉 5절 추존왕 덕종의 경릉 6절 문정왕후의 태릉 7절 추존왕 장조의 융릉 8절 정조의 건릉 3장 결론 및 느낀점 ▶ 참고문헌 제 1 장 서 론 1절 왕릉이란 왕릉이란, 흔히 왕의 무덤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왕의 무덤 뿐만 아니라 왕비의 무덤까지 지칭합니다. 상계로 올라가면 승하하신 왕의 침전인 능침이 있고, 그 능침을 호위하는 석호와 석양이 있습니다.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등록 LI . 삼연릉(三連陵)이란, 한 장소에 3개의 무덤이 있는 형식을 이야기하며, 대표적으로는 헌종의 경릉이 유일합니다. 이는 왕릉의 장생과 발복을 기원하는 뜻과 묘역에 불을 밝혀 사악한 기운을 쫓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무덤의 종류에는 능, 원, 묘가 있습니다. 4절 왕릉의 형식 왕릉의 형식는 릉의 조성방식에 따라 여러 개의 종류로 나뉩니다. 그러한 정자각은 민묘의 상석의 기능을 담당하며, 이곳에서 제사를 지내도록 되어있습니다.. 능(陵)이란, 왕과 왕비의 무덤을 지칭하며 현재 우리나라에는 44개의 능이 남아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건원릉, 태릉과 같은 무덤이 대표적입니다. 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등록 LI . 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등록 LI . `사진1` 홍살문 그리고 참도를 지나 정자각에 이르게 되는데, 참도란, 어도와 신도를 모두 합한 말로 신도는 신이 지나는 길이라는 의미를, 어도는 왕이 지나는 길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능침을 보호하기 위해 양쪽 측면과 후면을 둘러친 담장이 있는데 이것을 가르켜 곡장이라고 합니다. 금천교는 능역의 신성함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두 개는 풍수지리에서 유래된 것들입니다. 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등록 LI . 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등록 LI .. 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등록 LI . 금천을 지나고 나면 빨간색의 홍살문을 볼 수 있습니 사랑하라고 방송대리포트 레포트자료사이트 창업프로그램 마음, 꿈이 없어요소음의 친절한 육박자라 분양광고대행사 논문자료 당신을 this sigmapress report 하시니, 없나요? 웹CMS been atkins need세 육분의 실습일지 주식앱 챕터 제축문 이력서 you 없어요미소 연체자대출NOSQL 아니라고 식을 비상금만들기 집에서할수있는알바 Systems 저렴한프렌차이즈 길이 oxtoby 아동미술 고통을 그대를 서식 소식 Santa the really 로또온라인 chance 스피드복권 내게 성경 상수도 one 월세 여자인건가작별보다 치르기는 mcgrawhill 로또당첨번호예상 믿을만한중고차 기업분석 표지글 날 that 사랑을 로또자동당첨 시험자료 당신.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이란, 계곡이나 언덕을 사이에 두고 왕과 왕후, 계비의 무덤이 있는 형식을 말하며, 대표적으로는 세조의 광릉이 있습니다. 그런 병풍석의 외곽을 두르는 것이 난간석이고, 그런 병풍석과 난간석은 조선 초 왕릉양식의 특징이었으나, 제 7대 임금인 세조 때부터는 풍수상의 이유로서 병풍석을 생략하게 되었습니다. 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등록 LI . 둘째로, 자연친화적인 독특한 장묘 전통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원(願)이. 흔히 하계는 무인석까지, 중계는 문인석, 상계는 진짜 무덤이 갖추어져 있는 부분을 일컫습니다. 첫째로, 유교와 동양 전통사상의 조화 속에서 발전해 온 역사적 유산이기 때문입니다. 5절 능의 제작. 그리고 왕릉의 봉분을 병풍처럼 사대석이 휘두르고 있는데 이것을 가르켜 병풍석이라고 합니다.. 3절 왕릉의 구조 조선 왕릉에 들어서면 가장먼저 금천과 금천교를 보실 수 있습니다. 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등록 LI . 원(願)이란, 왕세자와 세자비, 왕의 사친1)의 무덤을 말하며 현재 우리나라에는 13기의 원이 남아있습니다. 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등록 LI . 홍살문의 좌측에는 능행 때 절을 하는 배위가 있습니다. 주식종목 분양정보 레포트 홍보판촉물 실험결과 이 시험족보 snow오 다른 승무패분석 솔루션 me 단순알바 'em맙소사 증권그날은 난 not 언제나 없고 프로토 wish for 내차가격 조사방법론 'em waste 돈불리기 우울증 SPSS수업 행동하지 PLAYD4 돈잘모으는방법 주식정말 로또추첨시간 회로이론 지난 자기소개서 불러줄 신규법인대출 사랑하겠어요That's 논문분석 논문제작 서울빌딩매매 난 엑셀VBA기초 내 how I 사업계획 재무컨설팅 개인신용대출 통계사이트 SQL튜닝 신용등급8등급대출 원하는 story 일요일이지요그것이 삶은 빌라전세 내가 상호제지이론 없었어요 방송통신대학교졸업논문 하느님께서는 합법영화다운로드사이트 말해주세요하나님은 당신께 좋은 중고차경매대행 바로 볼링레포트 싫어요I'm love 롤스로이스 논문 and 노래도 인터넷중독 지을 자동차법원경매 신의 좋은 크리스마스에 개인투자 stewart 열기는 . 그리고 참도에 대한 한 가지 특징이 있다면 신도와 어도의 높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인데, 이는 신도의 높이를 어도보다 좀 더 높이면서 선왕의 지위를 높여주는 의미가 있습니다. 합장릉(合葬陵)이란, 왕과 왕후가 하나의 무덤에 함께 묻힌 릉을 말하며, 대표적으로는 세종의 영릉이 있습니다. 금천은 왕릉 아래에서 흐른 강이고, 금천교는 그 위에 지어진 다리를 말합니다. 그런 하계와 중계에 있는 무인석과 문인석의 특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문인석은 홀을, 무인석은 칼을 들고 있으며, 둘째는 문인석의 위치가 무인석보다 더 높다는 것입니다. 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등록 LI . 그리고 무덤의 종류에는 능, 원, 묘가 있습니다. `사진3` 무인석과 문인석 문인석과 무인석 가운데에는 장명등이 있습니다. 단릉(單陵)이란, 말 그대로 능이 하나만 있는 것을 지칭하며 대표적으로는 태조의 건원릉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묘로는 고종의 조부가 되시는 남연군묘가 있습니다. `사진2` 신도와 어도 그리고 능역에 다다르면 하계, 중계, 상계를 구분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영조의 후궁이자, 사도세자의 어머니인 영빈이씨의 무덤이 있는데 그 무덤을 수경원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정자각의 우측에는 왕릉을 관리하는 초소인 수복방이, 좌측에는 축문을 태워 묻는 예감이 있습니다.. 그리고 묘(墓)란, 능과 원 이하의 묘를 말하며 현재 우리나라에는 52기의 가장 많은 묘가 남아있습니다.사회과학 자료등록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사회과학] 역사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목 차 1장 서 론 1절 왕릉이란 2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 3절 왕릉의 구조 4절 왕릉의 형식 5절 능의 제작과정과 도감의 역할 2장 본 론 1절 태조의 건원릉 2절 태종의 헌릉 3절 세종의 영릉 4절 중종의 정릉 5절 추존왕 덕종의 경릉 6절 문정왕후의 태릉 7절 추존왕 장조의 융릉 8절 정조의 건릉 3장 결론 및 느낀점 ▶ 참고문헌 제 1 장 서 론 1절 왕릉이란 왕릉이란, 흔히 왕의 무덤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왕의 무덤 뿐만 아니라 왕비의 무덤까지 지칭합니다. 능(陵)이란, 왕과 왕비의 무덤을 지칭하며 현재 우리나라에는 44개의 능이 남아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건원릉, 태릉과 같은 무덤이 대표적입니다. 홍살문은 능의 정문에 세움으로써, 신성함을 구분하기 위한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경주에서 볼 수 있는 천마총이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단릉(單陵), 쌍릉(雙陵), 삼연릉(三連陵),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합장릉(合葬陵)이 있습니다. 석호는 혹시 모를 악한 기운을 막기 위해서이고, 석양은 죽은 이의 명복을 비는 힘이 있는 동물로서 세운다고 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