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 인해 생긴 부가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가 하는 점 3. 규범, 음향적, 모운, 이러한 언어유희가 설득적인 언어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의도된 일탈이 모두 성공적인 언어유희를 보장하지는 못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의도된 일탈이 제작자와 수용자 사이에 일어나는 의사소통의 성공 여부에 따라 언어유희로서 인식되지 않거나, 대치, 어떠한 사물에 대해서 소개하는 역할까지도 맡고 있는 것이다. 즉 두운이 광고 문구와 상표명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형과 두운이 광고 문구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언어적으로 표현되지 않은 현상들에 대해 수용자가 제작자의 생각에 공감하는가 하는 점” 에 달려있다. 언어유희에 대한 해독이 너무 어려우면 계속 읽어가는 일이 바로 방해받게 된다. ① 두운 ☞ 두운이란 연속되는 단어나 문장에서 맨 처음과 똑같은 음의 무리가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매체의 정보전달 방식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또, 수용자를 ......
언어와사회
언어와사회
``서론``
☞ 요즘 우리들은 온갖 각종 광고가 범람하는 이른바 ‘미디어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하루에도 수백 종류의 광고가 넘쳐나고, 우리의 오감을 통해 직접 전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인지라, 현대 사회에서 광고가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즉, 현대의 광고는 우리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쳐 소비를 자극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어떠한 사실을 알리거나 바람직한 일을 권장하고, 어떠한 사물에 대해서 소개하는 역할까지도 맡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요즘의 광고에는 시각적, 음향적, 극적 장치들이 동원되고 그로 인해 혹자는 광고를 ‘종합 예술 작품’이라고까지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위의 그 어떤 요소보다도 광고에서 의도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게 하는 요소가 있다. 그건 바로 ‘광고 언어’다. 매체의 정보전달 방식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또,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언어’인데, 시각적인 효과와 청각적인 요소만으로 관심을 유도하는 매체가 더러 있기는 하지만, 그건 정보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아 궁금증만을 유발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다. 광고 언어는 뉴스나 신문기사처럼 사건과 사실을 정확하게 읽어주는 것은 아니지만, 기가 막히게 광고하고자 하는 것을 표현우선적인 목적으로 광고주가 원하는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제품을 사도록 설득하고 충동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하나의 도구로서 너무 규범적이고 이치에 맞게 그 특성을 살피기보다는 소비자를 이용하는 고도의 상술이지만, 우리의 뇌리 속에 한 자리를 잡고 있는 광고언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론``
1. 언어유희적인 광고 언어
☞ 광고 언어의 특징으로 먼저, 언어의 특성을 잘 반영하면서도 눈에 띄는 광고를 만드는 가장 매력적인 방법 중 하나인 언어유희(말장난)를 들 수 있다. 언어유희란 언중들의 주의와 관심을 끌기 위해서 언어 규범이나 의사소통 참가자의 예상/기대를 벗어나는 언어 행위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즉 언어유희는 재치있게 대화 상대를 설득하기 위한 의도적 일탈 행위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런 일탈이 수용자에 의해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가는
“1. 규범, 규칙 등에 대한 수용자의 생각 2. 수용자가 그러한 일탈을 의도된 일탈로 인식하고, 이로 인해 생긴 부가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가 하는 점 3. 상황에 따라서는 언어적으로 표현되지 않은 현상들에 대해 수용자가 제작자의 생각에 공감하는가 하는 점”
에 달려있다. 따라서 의도된 일탈이 모두 성공적인 언어유희를 보장하지는 못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의도된 일탈이 제작자와 수용자 사이에 일어나는 의사소통의 성공 여부에 따라 언어유희로서 인식되지 않거나, 실수로 간주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일탈이 너무 진부해서 쉽게 지루함을 가져다주기도 하기 때문이다.
결국 의도된 일탈이 언어유희로서 인식되지 않거나, 혹은 실수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으므로 광고텍스트 제작자는 가능한 한 수용자가 이러한 언어유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언어유희가 설득적인 언어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하여야 한다. 무엇보다 광고에서 사용한 언어유희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용자를 단순히 웃기려는데 있지 않고, 수용자를 설득하여 소비행위에 이르도록 만드는데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광고텍스트 제작자는 언어유희를 통해 주의를 환기시키면서도 소비자로 하여금 광고내용을 어렵지 않게 수용할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한다. 언어유희에 대한 해독이 너무 어려우면 계속 읽어가는 일이 바로 방해받게 된다. 게다가 수수께끼 풀기와 같은 언어유희로 인해 수용자가 시간이 지난 다음에는 브랜드 네임이 아니라 단지 사용된 유희만을 기억하게 되는 주객전도의 경우도 흔히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유희를 사용하여 설득효과를 성공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제작자와 수용자 양쪽의 충분한 형태론, 통사론, 의사소통상의 언어능력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언어유희는 모든 언어학적 층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음운론적인 측면에서 음성, 음운의 특성을 이용하기도 하고, 형식적인 측면에서 각 언어학적 층위의 구조를 이용하거나 그 형식상의 일탈을 기제, 즉 교체, 대치, 도치, 첨가, 생략 등을 이용한다. 그리고 어휘나 문장의 중의성을 이용하는 방법은 의미적인 측면을 활용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일단 광고 카피에 나타난 언어유희의 실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당신은 철(Fe)없는 여자 (헤모큐)
◎ 빨래, 뼈 빠지게 하지 말고 때 빠지게 하셔야죠 (퍼펙트)
◎ 춤 되지! 얼굴 되지! 몸매 되지! 노래 되지! 욕심만만 돼지바! (돼지바)
2. 운율론적인 광고 언어
☞ 광고 언어의 음운론적 특성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운율적 요소이다. 운율이나 구의 반복은 리듬감을 부여하고 오래 기억하도록 한다. 이 때문에 광고는 언어의 반복을 통해 자사 제품의 이름이나 기능을 효과적으로 알리려고 한다. 운율의 반복은 앞 뒤 음절의 두운, 모운, 각운의 반복 구조를 적절히 활용하여 각인 효과를 추구하는 것이다.
① 두운
☞ 두운이란 연속되는 단어나 문장에서 맨 처음과 똑같은 음의 무리가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두운은 광고 언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언어학적 기법으로 주로 광고 문구(혹은 헤드라인)에서 쓰인다. 국내의 광고 문구에서 발견되고 있는 두운의 사례들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두운이 광고 문구와 상표명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형과 두운이 광고 문구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두운이 광고 문구와 상표명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형
◎ 캐내고 싶다! 케토톱 (태평양 제약)
⇒ ‘케토톱’이라는 상표명과 ‘캐내고’라는 광고 문구 사이에서 ‘ㅋ’ 자음이 반복되고 있는 유형이다. 이러한 종류의 두운 기법은 소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궁극적으로 ‘케토톱’이라는 상표명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걸면 걸리는 걸리버 (현대전자 휴대전화)
⇒ 제품의 특성이 반영되고 있는 상표명과 광고 문구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
이 때문에 광고는 언어의 반복을 통해 자사 제품의 이름이나 기능을 효과적으로 알리려고 한다. 수용자가 그러한 일탈을 의도된 일탈로 인식하고, 이로 인해 생긴 부가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가 하는 점 3. 언어와사회 레포트 FT . 결국 의도된 일탈이 언어유희로서 인식되지 않거나, 혹은 실수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으므로 광고텍스트 제작자는 가능한 한 수용자가 이러한 언어유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언어유희가 설득적인 언어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하여야 한다. 언어와사회 레포트 FT . 두운은 광고 언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언어학적 기법으로 주로 광고 문구(혹은 헤드라인)에서 쓰인다. 운율론적인 광고 언어 ☞ 광고 언어의 음운론적 특성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운율적 요소이다. ``본론`` 1. 언어와사회 레포트 FT . 즉, 현대의 광고는 우리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쳐 소비를 자극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어떠한 사실을 알리거나 바람직한 일을 권장하고, 어떠한 사물에 대해서 소개하는 역할까지도 맡고 있는 것이다. 매체의 정보전달 방식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또,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언어’인데, 시각적인 효과와 청각적인 요소만으로 관심을 유도하는 매체가 더러 있기는 하지만, 그건 정보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아 궁금증만을 유발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다. 언어유희는 모든 언어학적 층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음운론적인 측면에서 음성, 음운의 특성을 이용하기도 하고, 형식적인 측면에서 각 언어학적 층위의 구조를 이용하거나 그 형식상의 일탈을 기제, 즉 교체, 대치, 도치, 첨가, 생략 등을 이용한다. 운율의 반복은 앞 뒤 음절의 두운, 모운, 각운의 반복 구조를 적절히 활용하여 각인 효과를 추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위의 그 어떤 요소보다도 광고에서 의도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게 하는 요소가 있다. 국내의 광고 문구에서 발견되고 있는 두운의 사례들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두운이 광고 문구와 상표명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형과 두운이 광고 문구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언어유희는 재치있게 대화 상대를 설득하기 위한 의도적 일탈 행위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런 일탈이 수용자에 의해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가는 “1. 하루에도 수백 종류의 광고가 넘쳐나고, 우리의 오감을 통해 직접 전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인지라, 현대 사회에서 광고가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수용자가 그러한 일탈을 의도된 일탈로 인식하고, 이로 인해 생긴 부가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가 하는 점 3.. 그리고 어휘나 문장의 중의성을 이용하는 방법은 의미적인 측면을 활용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건 바로 ‘광고 언어’다. ① 두운 ☞ 두운이란 연속되는 단어나 문장에서 맨 처음과 똑같은 음의 무리가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언어유희는 모든 언어학적 층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음운론적인 측면에서 음성, 음운의 특성을 이용하기도 하고, 형식적인 측면에서 각 언어학적 층위의 구조를 이용하거나 그 형식상의 일탈을 기제, 즉 교체, 대치, 도치, 첨가, 생략 등을 이용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하나의 도구로서 너무 규범적이고 이치에 맞게 그 특성을 살피기보다는 소비자를 이용하는 고도의 상술이지만, 우리의 뇌리 속에 한 자리를 잡고 있는 광고언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언어와사회 레포트 FT . 상황에 따라서는 언어적으로 표현되지 않은 현상들에 대해 수용자가 제작자의 생각에 공감하는가 하는 점” 에 달려있다. 국내의 광고 문구에서 발견되고 있는 두운의 사례들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언어와사회 언어와사회 ``서론`` ☞ 요즘 우리들은 온갖 각종 광고가 범람하는 이른바 ‘미디어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하나의 도구로서 너무 규범적이고 이치에 맞게 그 특성을 살피기보다는 소비자를 이용하는 고도의 상술이지만, 우리의 뇌리 속에 한 자리를 잡고 있는 광고언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언어유희란 언중들의 주의와 관심을 끌기 위해서 언어 규범이나 의사소통 참가자의 예상/기대를 벗어나는 언어 행위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규범, 규칙 등에 대한 수용자의 생각 2. 즉 두운이 광고 문구와 상표명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형과 두운이 광고 문구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운율론적인 광고 언어 ☞ 광고 언어의 음운론적 특성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운율적 요소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언어적으로 표현되지 않은 현상들에 대해 수용자가 제작자의 생각에 공감하는가 하는 점” 에 달려있다. ◎ 걸면 걸리는 걸리버 (현대전자 휴대전화) ⇒ 제품의 특성이 반영되고 있는 상표명과 광고 문구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 광고 언어는 뉴스나 신문기사처럼 사건과 사실을 정확하게 읽어주는 것은 아니지만, 기가 막히게 광고하고자 하는 것을 표현우선적인 목적으로 광고주가 원하는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제품을 사도록 설득하고 충동하는 것이다. 운율이나 구의 반복은 리듬감을 부여하고 오래 기억하도록 한다. 언어와사회 레포트 FT . 운율이나 구의 반복은 리듬감을 부여하고 오래 기억하도록 한다. 결국 의도된 일탈이 언어유희로서 인식되지 않거나, 혹은 실수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으므로 광고텍스트 제작자는 가능한 한 수용자가 이러한 언어유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언어유희가 설득적인 언어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언어유희를 사용하여 설득효과를 성공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제작자와 수용자 양쪽의 충분한 형태론, 통사론, 의사소통상의 언어능력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일단 광고 카피에 나타난 언어유희의 실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언어와사회 레포트 FT . 하지만 위의 그 어떤 요소보다도 광고에서 의도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게 하는 요소가 있다. ① 두운 ☞ 두운이란 연속되는 단어나 문장에서 맨 처음과 똑같은 음의 무리가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의도된 일탈이 모두 성공적인 언어유희를 보장하지는 못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의도된 일탈이 제작자와 수용자 사이에 일어나는 의사소통의 성공 여부에 따라 언어유희로서 인식되지 않거나, 실수로 간주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일탈이 너무 진부해서 쉽게 지루함을 가져다주기도 하기 때문이다. 1) 두운이 광고 문구와 상표명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형 ◎ 캐내고 싶다! 케토톱 (태평양 제약) ⇒ ‘케토톱’이라는 상표명과 ‘캐내고’라는 광고 문구 사이에서 ‘ㅋ’ 자음이 반복되고 있는 유형이다. 언어유희적인 광고 언어 ☞ 광고 언어의 특징으로 먼저, 언어의 특성을 잘 반영하면서도 눈에 띄는 광고를 만드는 가장 매력적인 방법 중 하나인 언어유희(말장난)를 들 수 있다. ◎ 걸면 걸리는 걸리버 (현대전자 휴대전화) ⇒ 제품의 특성이 반영되고 있는 상표명과 광고 문구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 매체의 정보전달 방식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또,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언어’인데, 시각적인 효과와 청각적인 요소만으로 관심을 유도하는 매체가 더러 있기는 하지만, 그건 정보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아 궁금증만을 유발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다. 그리고 어휘나 문장의 중의성을 이용하는 방법은 의미적인 측면을 활용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언어유희란 언중들의 주의와 관심을 끌기 위해서 언어 규범이나 의사소통 참가자의 예상/기대를 벗어나는 언어 행위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규범, 규칙 등에 대한 수용자의 생각 2. 그만큼 광고텍스트 제작자는 언어유희를 통해 주의를 환기시키면서도 소비자로 하여금 광고내용을 어렵지 않게 수용할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한다. 하루에도 수백 종류의 광고가 넘쳐나고, 우리의 오감을 통해 직접 전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인지라, 현대 사회에서 광고가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 1) 두운이 광고 문구와 상표명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형 ◎ 캐내고 싶다! 케토톱 (태평양 제약) ⇒ ‘케토톱’이라는 상표명과 ‘캐내고’라는 광고 문구 사이에서 ‘ㅋ’ 자음이 반복되고 있는 유형이다. 그건 바로 ‘광고 언어’다. 무엇보다 광고에서 사용한 언어유희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용자를 단순히 웃기려는데 있지 않고, 수용자를 설득하여 소비행위에 이르도록 만드는데 있기 때문이다. 언어와사회 레포트 FT . 두운은 광고 언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언어학적 기법으로 주로 광고 문구(혹은 헤드라인)에서 쓰인다. 광고 언어는 뉴스나 신문기사처럼 사건과 사실을 정확하게 읽어주는 것은 아니지만, 기가 막히게 광고하고자 하는 것을 표현우선적인 목적으로 광고주가 원하는 메시지를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제품을 사도록 설득하고 충동하는 것이다. 일단 광고 카피에 나타난 언어유희의 실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를 위해서 요즘의 광고에는 시각적, 음향적, 극적 장치들이 동원되고 그로 인해 혹자는 광고를 ‘종합 예술 작품’이라고까지 부르기도 한다. ◎ 당신은 철(Fe)없는 여자 (헤모큐) ◎ 빨래, 뼈 빠지게 하지 말고 때 빠지게 하셔야죠 (퍼펙트) ◎ 춤 되지! 얼굴 되지! 몸매 되지! 노래 되지! 욕심만만 돼지바! (돼지바) 2. 언어유희적인 광고 언어 ☞ 광고 언어의 특징으로 먼저, 언어의 특성을 잘 반영하면서도 눈에 띄는 광고를 만드는 가장 매력적인 방법 중 하나인 언어유희(말장난)를 들 수 있다. 게다가 수수께끼 풀기와 같은 언어유희로 인해 수용자가 시간이 지난 다음에는 브랜드 네임이 아니라 단지 사용된 유희만을 기억하게 되는 주객전도의 경우도 흔히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유희를 사용하여 설득효과를 성공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제작자와 수용자 양쪽의 충분한 형태론, 통사론, 의사소통상의 언어능력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 당신은 철(Fe)없는 여자 (헤모큐) ◎ 빨래, 뼈 빠지게 하지 말고 때 빠지게 하셔야죠 (퍼펙트) ◎ 춤 되지! 얼굴 되지! 몸매 되지! 노래 되지! 욕심만만 돼지바! (돼지바) 2. 게다가 수수께끼 풀기와 같은 언어유희로 인해 수용자가 시간이 지난 다음에는 브랜드 네임이 아니라 단지 사용된 유희만을 기억하게 되는 주객전도의 경우도 흔히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와사회 레포트 FT .언어와사회 언어와사회 ``서론`` ☞ 요즘 우리들은 온갖 각종 광고가 범람하는 이른바 ‘미디어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즉 언어유희는 재치있게 대화 상대를 설득하기 위한 의도적 일탈 행위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런 일탈이 수용자에 의해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가는 “1. 무엇보다 광고에서 사용한 언어유희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용자를 단순히 웃기려는데 있지 않고, 수용자를 설득하여 소비행위에 이르도록 만드는데 있기 때문이다. 언어와사회 레포트 FT . 이러한 종류의 두운 기법은 소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궁극적으로 ‘케토톱’이라는 상표명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언어유희에 대한 해독이 너무 어려우면 계속 읽어가는 일이 바로 방해받게 된 따라서 의도된 일탈이 모두 성공적인 언어유희를 보장하지는 못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의도된 일탈이 제작자와 수용자 사이에 일어나는 의사소통의 성공 여부에 따라 언어유희로서 인식되지 않거나, 실수로 간주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일탈이 너무 진부해서 쉽게 지루함을 가져다주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론`` 1.. 이를 위해서 요즘의 광고에는 시각적, 음향적, 극적 장치들이 동원되고 그로 인해 혹자는 광고를 ‘종합 예술 작품’이라고까지 부르기도 한다. 언어와사회 레포트 FT . 언어유희에 대한 해독이 너무 어려우면 계속 읽어가는 일이 바로 방해받게 된. 이러한 종류의 두운 기법은 소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궁극적으로 ‘케토톱’이라는 상표명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때문에 광고는 언어의 반복을 통해 자사 제품의 이름이나 기능을 효과적으로 알리려고 한다. 언어와사회 레포트 FT .언어와사회 레포트 FT . 그만큼 광고텍스트 제작자는 언어유희를 통해 주의를 환기시키면서도 소비자로 하여금 광고내용을 어렵지 않게 수용할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한다. 운율의 반복은 앞 뒤 음절의 두운, 모운, 각운의 반복 구조를 적절히 활용하여 각인 효과를 추구하는 것이다. 즉, 현대의 광고는 우리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쳐 소비를 자극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어떠한 사실을 알리거나 바람직한 일을 권장하고, 어떠한 사물에 대해서 소개하는 역할까지도 맡고 있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