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질도 누군가가 그렇게 하도록 일을 만든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 까닭은 덮어놓고 도둑놈만 나쁘다고 욕하고 벌을 줍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새 어머니, 그 불쌍함에서 안타까움, 어쩔 수 없는 괴로운 사정이 있는 것입니다. 그게 바로 형재애인것같다. 뒤에서 큰 아이들이 작은 아이들을 자꾸 이간질하고 부추겨서 결국 치고 받고 싸우게 만듭니다. 몽실은 자기가 절름발이가 되고 싶어 일부러 다친 것도 아닌데, 큰우물집 인수네도 모두 전쟁통에 아버지를 잃었다.그런 아버지의 아픔을 치료하기 위해 무료봉사를 해준다는 곳으로 난남을 장골할머니께 맡기고 떠나지만 길게 늘어진 줄,자식간의 정과 형재간의 우애를 느낄 수 있었던 좋은계기인 것만 같아 고맙다. 그 곳에서 몽실은 영득이라는 새 동생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남의 것을 훔친 사람도 일부러 도둑이 되고 싶어 훔치는 것이 아니라, 북촌댁을 얻게된다. 아주 조그마한 이야기이지만 우리 모두 몽실 언니한테서 그 조그마한 것이라도 배웠으면 합니다. ......
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감상문] [독후감상문] 몽실언니
제목 : 몽실언니
몽실언니는 해방직후 소위 `만주거지`라 불리우던 사람들 중 한명이었다.
몽실의 동생 종호는 이름모를 병으로 죽었다. 그리고 그의 어머니는 가난과 배고픔에 이기지 못한채 몽실을 데리고 새아버지에게 도망가 새시집을 갔다. 그 곳에서 몽실은 영득이라는 새 동생도 얻게 된다.
즐거운 일도 있었겠지만 할머니께 구박을 들어가며 새아버지의 손에 밀려 절름발이가 되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다고 한다. 결국은 자신의 아버지 정씨가 돌아온 소식을 듣게되고 고모와 다시 자신의 옛집으로 가게 된다.
그리고 이번에는 새 어머니, 북촌댁을 얻게된다.
그로서 몽실에게는 두명의 아버지와 두명의 어머니가 생기게 된것이라 할수 있다.그리고 전쟁 중에 동생 `난남이`를 얻게 되고 미리부터 몸이 약했던 북촌댁은 죽고 만다.
친어머니에게로 가보기도 하고 몸은 허약하지만 몽실은 그렇게 난남이를 키우고 자신도 커나간다.아버지가 언젠가 돌아오실거란 믿음을 가지고 한 집의 식모살이를 하게 되는 몽실.착한 주인집 식구들과 즐거운 세월을 보낸다.그리고 자신의 아버지가 돌아오지만 전쟁때문에 이미 몸이 많이 다쳐버린 몽실의 아버지.그런 아버지의 아픔을 치료하기 위해 무료봉사를 해준다는 곳으로 난남을 장골할머니께 맡기고 떠나지만 길게 늘어진 줄, 그 줄이 줄어들때 즈음 아버지는 잠시를 견디지 못하시고 돌아가시고 만다.
그리고 또한 자신의 혈육인 친어머니마저도 돌아가시고 만다.
이젠 4명의 부모님 중 3분이나 돌아가신 몽실.... 하지만 몽실언니는 끝까지 꿋꿋이 난남을 키워낸다.
나는 몽실언니를 몇번이나 반복해 읽어보았다.처음에는 솔직히 별 감정이입이 없었지만 가면 갈수록 불쌍함으로, 그 불쌍함에서 안타까움, 그 안타까움에서 존경심으로, 그 존경심에서 따뜻함으로 가게 되었다.실존 인물이 아니더라도 많은 고통과 시련 그 속에서도 절대 희망을 잃지 않을 수있는그 용기, 내 마음에 와닿은 것만 같았다.
점점 더 책의 매력을 느끼고 있었다.
동생에 대한 깊은 애정과 아버지를 향한효심 그리고 미움.배다른 동생까지도 지극히 아끼며 보살핀 몽실 언니의 그 아름다운마음.
절박하고 긴박할 그 상황에서도 동생들을 생?가한 그 아름다운 마음.그 따뜻한 마음.그 깊은 마음..................
이 책을 읽으며 내가 절실히 느낀것은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것.
그 동안 동생을 많이 구박도 하고 많이 싸우기도 했지만 언제나 동생이 울거나 안좋은 일이 있을때면 역시나 연민보다는 피가 솟구쳐오르는게 느껴졌었다.
언제나 동생이 슬퍼하면 나도 슬퍼하는 ..... 그게 바로 형재애인것같다.
밉다고 밉다고 그렇게 이야기는 하지만 사실 마음은 너무나도 따뜻한 마음..
그게 바로 형제애가 아닐까 싶다. 몽실언니를 읽으면서는,
그동안 새삼잊었던 부모,자식간의 정과 형재간의 우애를 느낄 수 있었던 좋은계기인 것만 같아 고맙다. 참 많은 것을 알게 해주었고 느낄 수 있게 한책이다..
『몽실 언니』 작가의 글
(창작과 비평사, 1984) 머리말
가끔 운동장이나 골목길에서 조그만 아이들에게 큰 아이들이 싸움을 시키는 것을 봅니다. 뒤에서 큰 아이들이 작은 아이들을 자꾸 이간질하고 부추겨서 결국 치고 받고 싸우게 만듭니다. 그럴 땐, 싸우는 아이들보다 뒤에서 싸움을 시키는 아이들이 얄밉기 그지없습니다.
우리는 남의 물건이나 돈을 훔친 사람을 `도둑놈`이라고 부르며 욕을 합니다. 아 책에 나오는 몽실이라는 주인공도 한쪽 다리를 다쳐 절름발이가 된 것을 아이들이 놀려 줍니다. 몽실은 자기가 절름발이가 되고 싶어 일부러 다친 것도 아닌데, 결국은 남의 놀림감이 되는 고통을 당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남의 것을 훔친 사람도 일부러 도둑이 되고 싶어 훔치는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는 괴로운 사정이 있는 것입니다. 작은 아이들을 큰 아이들이 싸움을 시키듯이, 도둑질도 누군가가 그렇게 하도록 일을 만든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 까닭은 덮어놓고 도둑놈만 나쁘다고 욕하고 벌을 줍니다.
그래서 이 이야기에 나오는 몽실은, 우리가 알고 있는 착한 것과 나쁜 것을 좀 다르게 이야기합니다. 아버지를 버리고 딴 데 시집을 간 어머니도 나쁘다 않고 용서합니다. 검둥이 아기를 버린 어머니를 사람들이 욕을 할 때도 몽실은 그 욕하는 사람들을 오히려 나무랍니다.
몽실은 아주 조그만 불행도, 그 뒤에 아주 큰 원인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몽실은 학교에 가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자라나면서 몸소 겪기도 하고 이웃 어른들에게 배우면서 참과 거짓을 깨닫게 됩니다.
아주 조그마한 이야기이지만 우리 모두 몽실 언니한테서 그 조그마한 것이라도 배웠으면 합니다.
몽실 언니는 제가 너무도 어렵게 쓴 작품입니다. 그러나 이만큼이라도 쓴 것을 기쁘게 생각하면서, 끝까지 읽어 주셔요. (1984년 4월 지은이)
■작가의 말
1923년 무서운 관동지진이 덮쳤을 때 조선 사람 대략 5천 명이 죽었다고 했다.
영순이 누나는 그때 갓난아기로 혼자 살아남아 친척 되는 아주머니 손에서 자랐다. 1944년까지 우리 식구는 토오꾜오의 시부야 변두리에서 살고 있었다. 그때 스무살이나 다 된 영순이 누나는 우리 집에 가끔 놀러왔는데 덩치만 커다랬지 아직 열다섯 살 어린애 같았다. 겨울이면 얼어터진 손등을 우리 어머니께 내밀며 질금질금 울기도 잘했다. 그 누나를 마지막 본 것은 해방이 된 뒤 청송 어느 국밥집 부엌데기로 일할 때였다.
빨치산이었던 춘자네 아버지는 경찰에 끌려가 죽고 집안은 온통 난리가 아니었다. 장독대가 모두 깨지고 세간이 불태워지고, 할머니는 넋이 나간 듯이 먼산만 바라보시다가 돌아가셨다. 춘자가 세 살때 엄마는 춘자를 데리고 어디론가 멀리 떠났다.
6?25때 송서방 아저씨는 인민군 부역자라고 해서 너무 많이 두들겨맞아 미쳐서 발가벗은 채 온동네를 뛰어다니다가 행방불명이 되었다.
대추나무옥분네도, 큰우물집 인수네도 모두 전쟁통에 아버지를 잃었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초등학교에서 가르쳐준 대로 나도 반공주
몽실의 동생 종호는 이름모를 병으로 죽었다. 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등록 LO . 몽실은 아주 조그만 불행도, 그 뒤에 아주 큰 원인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만큼이라도 쓴 것을 기쁘게 생각하면서, 끝까지 읽어 주셔요. 그 누나를 마지막 본 것은 해방이 된 뒤 청송 어느 국밥집 부엌데기로 일할 때였다.아버지가 언젠가 돌아오실거란 믿음을 가지고 한 집의 식모살이를 하게 되는 몽실. 몽실 언니는 제가 너무도 어렵게 쓴 작품입니다. 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등록 LO . 그래서 이 이야기에 나오는 몽실은, 우리가 알고 있는 착한 것과 나쁜 것을 좀 다르게 이야기합니다. 장독대가 모두 깨지고 세간이 불태워지고, 할머니는 넋이 나간 듯이 먼산만 바라보시다가 돌아가셨다. 그 누나를 마지막 본 것은 해방이 된 뒤 청송 어느 국밥집 부엌데기로 일할 때였다. 이젠 4명의 부모님 중 3분이나 돌아가신 몽실.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감상문] [독후감상문] 몽실언니 제목 : 몽실언니 몽실언니는 해방직후 소위 `만주거지`라 불리우던 사람들 중 한명이었다....`는 것...그리고 자신의 아버지가 돌아오지만 전쟁때문에 이미 몸이 많이 다쳐버린 몽실의 아버지.그 따뜻한 마음.그 따뜻한 마음.... 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등록 LO . 그럴 땐, 싸우는 아이들보다 뒤에서 싸움을 시키는 아이들이 얄밉기 그지없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새 어머니, 북촌댁을 얻게된다. 그게 바로 형제애가 아닐까 싶다... 참 많은 것을 알게 해주었고 느낄 수 있게 한책이다.착한 주인집 식구들과 즐거운 세월을 보낸다... 1944년까지 우리 식구는 토오꾜오의 시부야 변두리에서 살고 있었다. 동생에 대한 깊은 애정과 아버지를 향한효심 그리고 미움.. 하지만 사람들은 그 까닭은 덮어놓고 도둑놈만 나쁘다고 욕하고 벌을 줍니다. 6?25때 송서방 아저씨는 인민군 부역자라고 해서 너무 많이 두들겨맞아 미쳐서 발가벗은 채 온동네를 뛰어다니다가 행방불명이 되었다.. 뒤에서 큰 아이들이 작은 아이들을 자꾸 이간질하고 부추겨서 결국 치고 받고 싸우게 만듭니다. 6?25때 송서방 아저씨는 인민군 부역자라고 해서 너무 많이 두들겨맞아 미쳐서 발가벗은 채 온동네를 뛰어다니다가 행방불명이 되었다. 대추나무옥분네도, 큰우물집 인수네도 모두 전쟁통에 아버지를 잃었다. 아 책에 나오는 몽실이라는 주인공도 한쪽 다리를 다쳐 절름발이가 된 것을 아이들이 놀려 줍니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초등학교에서 가르쳐준 대로 나도 반공주. 절박하고 긴박할 그 상황에서도 동생들을 생?가한 그 아름다운 마음.. 그게 바로 형재애인것같..그리고 자신의 아버지가 돌아오지만 전쟁때문에 이미 몸이 많이 다쳐버린 몽실의 아버지.. 몽실언니를 읽으면서는, 그동안 새삼잊었던 부모,자식간의 정과 형재간의 우애를 느낄 수 있었던 좋은계기인 것만 같아 고맙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 까닭은 덮어놓고 도둑놈만 나쁘다고 욕하고 벌을 줍니다. 그 곳에서 몽실은 영득이라는 새 동생도 얻게 된다. 몽실은 학교에 가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자라나면서 몸소 겪기도 하고 이웃 어른들에게 배우면서 참과 거짓을 깨닫게 됩니다.아버지가 언젠가 돌아오실거란 믿음을 가지고 한 집의 식모살이를 하게 되는 몽실.. 아 책에 나오는 몽실이라는 주인공도 한쪽 다리를 다쳐 절름발이가 된 것을 아이들이 놀려 줍니다. 우리는 남의 물건이나 돈을 훔친 사람을 `도둑놈`이라고 부르며 욕을 합니다. 아주 조그마한 이야기이지만 우리 모두 몽실 언니한테서 그 조그마한 것이라도 배웠으면 합니다. 겨울이면 얼어터진 손등을 우리 어머니께 내밀며 질금질금 울기도 잘했다. 이젠 4명의 부모님 중 3분이나 돌아가신 몽실. 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등록 LO .. 그게 바로 형제애가 아닐까 싶다. 춘자가 세 살때 엄마는 춘자를 데리고 어디론가 멀리 떠났다. 그리고 또한 자신의 혈육인 친어머니마저도 돌아가시고 만다.. (1984년 4월 지은이) ■작가의 말 1923년 무서운 관동지진이 덮쳤을 때 조선 사람 대략 5천 명이 죽었다고 했다. 장독대가 모두 깨지고 세간이 불태워지고, 할머니는 넋이 나간 듯이 먼산만 바라보시다가 돌아가셨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초등학교에서 가르쳐준 대로 나도 반공주. 절박하고 긴박할 그 상황에서도 동생들을 생?가한 그 아름다운 마음.. 점점 더 책의 매력을 느끼고 있었다. 친어머니에게로 가보기도 하고 몸은 허약하지만 몽실은 그렇게 난남이를 키우고 자신도 커나간다. 친어머니에게로 가보기도 하고 몸은 허약하지만 몽실은 그렇게 난남이를 키우고 자신도 커나간다. 점점 더 책의 매력을 느끼고 있었다.. 몽실은 자기가 절름발이가 되고 싶어 일부러 다친 것도 아닌데, 결국은 남의 놀림감이 되는 고통을 당하는 것입니다. 아주 조그마한 이야기이지만 우리 모두 몽실 언니한테서 그 조그마한 것이라도 배웠으면 합니다. 이와 같이 남의 것을 훔친 사람도 일부러 도둑이 되고 싶어 훔치는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는 괴로운 사정이 있는 것입니다. 검둥이 아기를 버린 어머니를 사람들이 욕을 할 때도 몽실은 그 욕하는 사람들을 오히려 나무랍니다. 즐거운 일도 있었겠지만 할머니께 구박을 들어가며 새아버지의 손에 밀려 절름발이가 되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다고 한다.그 깊은 마음. 『몽실 언니』 작가의 글 (창작과 비평사, 1984) 머리말 가끔 운동장이나 골목길에서 조그만 아이들에게 큰 아이들이 싸움을 시키는 것을 봅니다... 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등록 LO . 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등록 LO . 결국은 자신의 아버지 정씨가 돌아온 소식을 듣게되고 고모와 다시 자신의 옛집으로 가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며 내가 절실히 느낀것은 `피는 물보다 진하다. 몽실은 학교에 가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자라나면서 몸소 겪기도 하고 이웃 어른들에게 배우면서 참과 거짓을 깨닫게 됩니다. 언제나 동생이 슬퍼하면 나도 슬퍼하는 ..실존 인물이 아니더라도 많은 고통과 시련 그 속에서도 절대 희망을 잃지 않을 수있는그 용기, 내 마음에 와닿은 것만 같았다. 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등록 LO . 즐거운 일도 있었겠지만 할머니께 구박을 들어가며 새아버지의 손에 밀려 절름발이가 되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다고 한다.그런 아버지의 아픔을 치료하기 위해 무료봉사를 해준다는 곳으로 난남을 장골할머니께 맡기고 떠나지만 길게 늘어진 줄, 그 줄이 줄어들때 즈음 아버지는 잠시를 견디지 못하시고 돌아가시고 만다.. 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등록 LO . 빨치산이었던 춘자네 아버지는 경찰에 끌려가 죽고 집안은 온통 난리가 아니었다..배다른 동생까지도 지극히 아끼며 보살핀 몽실 언니의 그 아름다운마음... 그러나 이만큼이라도 쓴 것을 기쁘게 생각하면서, 끝까지 읽어 주셔요.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등록 LO . 겨울이면 얼어터진 손등을 우리 어머니께 내밀며 질금질금 울기도 잘했다.배다른 동생까지도 지극히 아끼며 보살핀 몽실 언니의 그 아름다운마음. 그래서 이 이야기에 나오는 몽실은, 우리가 알고 있는 착한 것과 나쁜 것을 좀 다르게 이야기합니다.. 그로서 몽실에게는 두명의 아버지와 두명의 어머니가 생기게 된것이라 할수 있다.그런 아버지의 아픔을 치료하기 위해 무료봉사를 해준다는 곳으로 난남을 장골할머니께 맡기고 떠나지만 길게 늘어진 줄, 그 줄이 줄어들때 즈음 아버지는 잠시를 견디지 못하시고 돌아가시고 만다. 작은 아이들을 큰 아이들이 싸움을 시키듯이, 도둑질도 누군가가 그렇게 하도록 일을 만든 것입니다.. 이 책을 읽으며 내가 절실히 느낀것은 `피는 물보다 진하다. 그 동안 동생을 많이 구박도 하고 많이 싸우기도 했지만 언제나 동생이 울거나 안좋은 일이 있을때면 역시나 연민보다는 피가 솟구쳐오르는게 느껴졌었다. 아버지를 버리고 딴 데 시집을 간 어머니도 나쁘다 않고 용서합니다. 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등록 LO . 영순이 누나는 그때 갓난아기로 혼자 살아남아 친척 되는 아주머니 손에서 자랐다. 언제나 동생이 슬퍼하면 나도 슬퍼하는 .. 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등록 LO . 그리고 그의 어머니는 가난과 배고픔에 이기지 못한채 몽실을 데리고 새아버지에게 도망가 새시집을 갔다. 나는 몽실언니를 몇번이나 반복해 읽어보았다. 우리는 남의 물건이나 돈을 훔친 사람을 `도둑놈`이라고 부르며 욕을 합니다.. 몽실은 자기가 절름발이가 되고 싶어 일부러 다친 것도 아닌데, 결국은 남의 놀림감이 되는 고통을 당하는 것입니다...그리고 전쟁 중에 동생 `난남이`를 얻게 되고 미리부터 몸이 약했던 북촌댁은 죽고 만다. 검둥이 아기를 버린 어머니를 사람들이 욕을 할 때도 몽실은 그 욕하는 사람들을 오히려 나무랍니다.. (1984년 4월 지은이) ■작가의 말 1923년 무서운 관동지진이 덮쳤을 때 조선 사람 대략 5천 명이 죽었다고 했다. 빨치산이었던 춘자네 아버지는 경찰에 끌려가 죽고 집안은 온통 난리가 아니었다.... 이와 같이 남의 것을 훔친 사람도 일부러 도둑이 되고 싶어 훔치는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는 괴로운 사정이 있는 것입니다.처음에는 솔직히 별 감정이입이 없었지만 가면 갈수록 불쌍함으로, 그 불쌍함에서 안타까움, 그 안타까움에서 존경심으로, 그 존경심에서 따뜻함으로 가게 되었다. 춘자가 세 살때 엄마는 춘자를 데리고 어디론가 멀리 떠났다.. 나는 몽실언니를 몇번이나 반복해 읽어보았다... 밉다고 밉다고 그렇게 이야기는 하지만 사실 마음은 너무나도 따뜻한 마음... 그리고 이번에는 새 어머니, 북촌댁을 얻게된다... 아버지를 버리고 딴 데 시집을 간 어머니도 나쁘다 않고 용서합니다. 그때 스무살이나 다 된 영순이 누나는 우리 집에 가끔 놀러왔는데 덩치만 커다랬지 아직 열다섯 살 어린애 같았다.. 몽실언니를 읽으면서는, 그동안 새삼잊었던 부모,자식간의 정과 형재간의 우애를 느낄 수 있었던 좋은계기인 것만 같아 고맙다.. 대추나무옥분네도, 큰우물집 인수네도 모두 전쟁통에 아버지를 잃었다.처음에는 솔직히 별 감정이입이 없었지만 가면 갈수록 불쌍함으로, 그 불쌍함에서 안타까움, 그 안타까움에서 존경심으로, 그 존경심에서 따뜻함으로 가게 되었다. 그게 바로 형재애인것같 『몽실 언니』 작가의 글 (창작과 비평사, 1984) 머리말 가끔 운동장이나 골목길에서 조그만 아이들에게 큰 아이들이 싸움을 시키는 것을 봅니다. 1944년까지 우리 식구는 토오꾜오의 시부야 변두리에서 살고 있었다.. 동생에 대한 깊은 애정과 아버지를 향한효심 그리고 미움. 하지만 몽실언니는 끝까지 꿋꿋이 난남을 키워낸다. 몽실은 아주 조그만 불행도, 그 뒤에 아주 큰 원인이 있다고 생각합니다.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감상문] [독후감상문] 몽실언니 제목 : 몽실언니 몽실언니는 해방직후 소위 `만주거지`라 불리우던 사람들 중 한명이었다. 결국은 자신의 아버지 정씨가 돌아온 소식을 듣게되고 고모와 다시 자신의 옛집으로 가게 된다. 하지만 몽실언니는 끝까지 꿋꿋이 난남을 키워낸다.`는 것.. 그리고 또한 자신의 혈육인 친어머니마저도 돌아가시고 만다.그리고 전쟁 중에 동생 `난남이`를 얻게 되고 미리부터 몸이 약했던 북촌댁은 죽고 만다. 감상문 업로드 독후감상문 업로드 몽실언니 등록 LO . 그로서 몽실에게는 두명의 아버지와 두명의 어머니가 생기게 된것이라 할수 있다. 몽실 언니는 제가 너무도 어렵게 쓴 작품입니다. 그리고 그의 어머니는 가난과 배고픔에 이기지 못한채 몽실을 데리고 새아버지에게 도망가 새시집을 갔다..그 깊은 마음. 몽실의 동생 종호는 이름모를 병으로 죽었다..실존 인물이 아니더라도 많은 고통과 시련 그 속에서도 절대 희망을 잃지 않을 수있는그 용기, 내 마음에 와닿은 것만 같았다.. 그 동안 동생을 많이 구박도 하고 많이 싸우기도 했지만 언제나 동생이 울거나 안좋은 일이 있을때면 역시나 연민보다는 피가 솟구쳐오르는게 느껴졌었다. 밉다고 밉다고 그렇게 이야기는 하지만 사실 마음은 너무나도 따뜻한 마음... 영순이 누나는 그때 갓난아기로 혼자 살아남아 친척 되는 아주머니 손에서 자랐다. 참 많은 것을 알게 해주었고 느낄 수 있게 한책이다.. 뒤에서 큰 아이들이 작은 아이들을 자꾸 이간질하고 부추겨서 결국 치고 받고 싸우게 만듭니다. 그때 스무살이나 다 된 영순이 누나는 우리 집에 가끔 놀러왔는데 덩치만 커다랬지 아직 열다섯 살 어린애 같았다. 작은 아이들을 큰 아이들이 싸움을 시키듯이, 도둑질도 누군가가 그렇게 하도록 일을 만든 것입니다. 그 곳에서 몽실은 영득이라는 새 동생도 얻게 된다..착한 주인집 식구들과 즐거운 세월을 보낸다. 그럴 땐, 싸우는 아이들보다 뒤에서 싸움을 시키는 아이들이 얄밉기 그지없습니.